1. J2EE 플랫폼
클라이언트 / 서버 환경이나 웹 환경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사용
웹 컨테이너(서블릿 or JSP 파일 처리)는 JSP, Servlet, EJB 로 구성되어 있다. (EJB 는 안씀)
2. WAS(Web Appliction Server)
4. 지시자
웹 컨테이너가 JSP 페이지를 servlet 클래스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문법
<%@ 다음에는 지시자 이름이 와야한다. 이름 다음에는 여러 가지 속성이 올 수 있다. %>
- page 지시자 : JSP 페이지 전체에 적용되는 정보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
- include 지시자 : 다른 JSP 페이지나 HTML 문서를 현재 JSP 페이지의 일부로 포함 시키기 위해 사용
- taglib 지시자 : JSP 문법 중 action 을 사용 할 때 필요, 액션이 속한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만 사용
스크립틀릿, 표현식 : <% %> 사이에 있는 것을 스크립틀릿이라고 하고 이 안에는 자바 코드가 들어간다.
5. 내장 객체
JSP의 내장 변수는 servlet 클래스에 있는 doGet, doPost 메소드의 파라미터처럼 request, response 등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. out 내장 변수는 servlet 클래스 안에서 getWriter 를 호출해서 얻은 PrintWriter 객체 같은 역할을 한다.(선언하지 않고도 <%%> 안에서 선언하지 않고도 사용 할 수 있다.) , 이처럼 내장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웹 컨테이너가 JSP 를 servlet 클래스로 변환할 때 자동으로 선언을 해주기 때문이다.
6. Dispather, redirect차이
- dispather 는 새로운 요청(새로운 페이지로 이동)이 아니라 기존 요소의 연장선이다. (그러므로 이전 주소를 계속 가지고 있다.)